- 런케이션 기반 글로벌 교육도시 조성…3개 대학별 특성화 전략 확정 -
- 5년간 2,500억 투입…지역-대학 연계 교육혁신 프로젝트 본격 시동 -
❏제주특별자치도가 향후 5년간 2,500억 원을 투입해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교육혁신 모델을 본격 가동한다.
❏ 제주도는 29일 메종글래드 제이드홀에서 제4회 제주RISE위원회를 개최하고, 도내 3개 대학과 함께 추진할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 계획’을 확정했다.
❍ 제주 RISE 기본계획은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플랫폼 조성’을 대표 과제로, △지속가능한 핵심인재 △지산학연 이음·돋움·성장 △J-Biz 캠퍼스 창업모루 △혼듸 평생교육 배움터 △지역사회혁신 신(新)수눌음 등 5대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 제주도가 추진하는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교육부가 개별적으로 지원하던 대학 지원사업*을 지방정부 주도로 통합·재설계한 혁신 모델이다.
* 지역혁신(RIS), 산학협력(LINC), 지방대활성화, 평생교육(LiFE) 등
❍ 대학지원의 행·재정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발전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 제주도는 이날 회의에서 RISE 사업 수행대학(제주대학교, 제주관광대학교, 제주한라대학교) 각 사업단장의 사업계획 발표를 통해, 정책과제와 도정방향 간 연계성을 확보했다.
❏ 제주도는 4월 초 대학별 RISE 사업 계획을 평가한 뒤 3개 대학 22개 과제(총 416억)를 선정하고, 대학재정지원사업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대학의 최종 사업계획 수립을 지원했다.
❍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의 지역 특성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고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 제주대학교는 ‘지역과 대학의 공진화(Co-evolution)를 선도하는 지역혁신 대학'을 목표로 267억원을 투입한다. 우주학과 등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열린 교육을 위한 복수캠퍼스(Twin-Campus)’ 조성으로 제주형 런케이션 모델을 구현할 계획이다.
❍ 제주관광대학교는 54억원을 투입해 ‘산업과 지역을 연결하는 미래대학'으로 도약한다. 관광·식품·창업 분야의 체류형 ‘복합교육(CETO: 조리·창업·관광·융합) 교육관광 모델’을 특화사업으로 운영하며, 특성화고-대학-지역기업을 잇는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 제주한라대학교는 95억원 규모의 ‘글로벌 K-교육·연구 대학'을 추진한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콘텐츠·우주항공·식품기술(푸드테크)·시스템제어 등 5대 인공지능 융합자유전공을 운영하며, 지역 전략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방침이다.
❏ 제주도와 3개 대학은 이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5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 협약에 따라 ▲지역정주 인재양성(취업 등) ▲지산학연 협력 ▲창업 활성화 ▲직업·평생교육 강화 ▲지역사회 현안 해결 등 5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협력한다.
❍ 특히 각 대학의 특성화 전략을 연계한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을 대표 사업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대학 간 협력, 연구자 교류, 교육관광 연계형 프로그램 운영 등 제주만의 특화된 미래교육 모델을 실현할 계획이다
❏ 오영훈 지사(RISE위원회 공동위원장)는 "제주형 RISE의 대표사업인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은 제주의 새로운 브랜드 전략”이라며 "제주의 자연 속에서 학습과 여가가 공존하는 글로벌 교육도시 모델이 바로 제주”라고 강조했다.
❍ 이어 "이미 미국 프린스턴대학교를 비롯한 국내외 여러 대학과의 협력이 시작되는 등 제주의 새로운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우주산업, 그린에너지, 바이오,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등 신산업 투자를 통해 청년 일자리와 지역경제를 동반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 김일환 제주대 총장(RISE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오늘 제주 RISE 사업의 공식 출범식과 협약 체결은 제주 고등교육의 새로운 전환점”이라며 "이 자리에서 이뤄지는 논의 하나하나가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하길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