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RISE사업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으로 지역혁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제주 RISE센터를 중심으로 제주관광대, 제주대, 제주한라대가 함께 수행하고 있다.」
❏제주 로컬자원을 기반으로 한 체류형 창업 워케이션 프로그램 ‘글로벌 UNIFORCE 2025’가 독일과 태국, 일본, 베트남, 중국 등 5개국 13개 대학의 교수와 학생 등 15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 이번 행사는 제주관광대학교가 주최하고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RISE센터, 교육부가 주관했으며, 11월 4일부터 7일까지 제주관광대학교를 비롯한 제주 전역에서 진행됐다.
❏ UNIFORCE 프로그램은 창업교육과 현장체험을 융합한 제주형 런케이션(Learn+Vacation)모델로 운영됐으며, 학생 트랙과 교수 트랙 등 2가지로 나뉘어 진행됐다.
❍ 학생 트랙에서는 구시가지 활성화와 ESG&AI, 문화관광 등 세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아이템 발표 경연이 열렸다. 참가 학생들은 사전에 팀을 구성해 대해 미리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으며, 제주 현장 탐방과 리서치를 통해 사업 아이디어를 고도화했다.
❍ 최종 사업계획서 발표 및 시상식은 행사 마지막 날인 11월 7일(금) 제주 엠버퓨어힐 호텔에서 폐회식과 함께 진행됐다.
❍ 최종 우승은 킹몽쿳대학교(King Mongkut’s University of Technology North Bangkok)팀이 차지했다. 이들은 언올드제주(Un-Old-Jeju)를 주제로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제주의 원도심을 되살리기 위해 ‘걸으며 수집하는 여행지’를 제안했다. 각 장소별 스탬프 포인트를 설치해 앱으로 안내하고, 스탬프를 많이 모을수록 특별한 기념품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체험 중심의 능동적 관광으로 탐험과 수집, 보상, 스토리텔링을 결합, 체류형 관광 활성화와 관광 경험의 개인화를 목표로 했다.
❍ 2등은 쾰른 공과대학교(Kol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가 차지했다. 이들은 AI&ESG Edge 데이터 솔루션을 주제로 기업이 ESG 보고 과정에서 비용이 많이 들고 자료 정리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공장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현장에서 바로 AI가 처리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또한, 제주 중소기업에서 시범 운영 후 전국 및 해외 산업으로 확대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함께 제시했다.
❍ 교수 트랙에서는 향후 창업 글로벌화를 위한 연구과제 제안과 창업생태계 활성화 토론 등 글로벌 창업 교육에 대한 워크숍이 열렸다.
❏ 제주관광대학교는“이번 UNIFORCE 2025는 단순한 교류 행사를 넘어, 제주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창업교육 네트워크의 현장이었다”며,“체류형 워케이션을 통해 다국가 대학 교수진과 학생들이 서로 교류하며 제주도가 글로벌 창업교육의 허브로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받아 추진 중인‘제주RISE사업’의 일환으로, 제주RISE센터와 도내 3개 대학이 협력하여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