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기관, 글로벌 대학·기관 전문 연구인력과의 연구·개발·배움 협력이 가능한 교육·연구 환경 조성, 확대를 통한 「글로벌 런케이션 도시 제주」 구축
민간우주·미래모빌리티, 그린에너지, 바이오, 관광·1차산업 등의 전략산업 핵심인재와 연결된 생태계 육성 및 미래혁신역량 강화를 위한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모델 구축
전략산업을 중심으로
지산학연 연계·협력 확대를 통한
연구역량 강화, 글로벌 협력
ISE 플랫폼 성과 공유,
글로벌 확산을 위한 교육부 –
제주 공동 「RISE 글로벌 포럼」 추진
지역 클러스터 및 자원과 연계한
시장수요 기반의 연구를 통해
공동연구 및 실용화·사업화 촉진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가치를 확산할 수 있는
교육·연구 지원
①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플랫폼 조성사업(대표과제)
추진방향
지역(지자체, 산업체, 혁신기관 등)과 대학의 자원과 역량, 네트워크를 결집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글로벌 교육·연구 협력의 플랫폼을 구축
주요추진내용
[모델·거버넌스] 런케이션 기반의 제주특화 글로벌 K-교육·연구 협력모델 정립
- (모델 정립) 배움, 학습과 여가를 결합한 수업, 학술·기술 교류, 지식·지혜를 공유하는 제주체류형 모델로, 도내·국내 대학·기관·기업을 넘어 글로벌 대학·기관·기업까지 유치
- (거버넌스 구축) 도내외 대학 및 글로벌 대학, 국가 출연연, 기업 등을 아우르는 제주 ‘K-교육·연구 런케이션 플랫폼’ 거버넌스 구성
[플랫폼] 런케이션 기반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온·오프라인 플랫폼
- (온라인 플랫폼) 방문연구(연구년·안식년), 공동 교육·연구 목적의 인력 유입을 위한 교육·연구 온라인 플랫폼 구축
* JOY 공유대학 등 기존 플랫폼 연계·기능 확장
- (오프라인 커뮤니티) 대학 유휴공간을 활용한 런케이션 시설 조성, 도에서 운영 중인 워케이션 시설을 연계한 제주특화 교육·연구 거점(클러스터) 조성
* 대학 유휴시설 리모델링 및 시설 지원을 통해 체류시설과 교육·연구 공간의 접근성 확보
[런케이션 활성화] 지역/국가/기관 간 연계·협력 확대 및 연구소 등의 유치를 통한 전략산업 연계 교육·연구 활성화
-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 국내외 전문가·연구자가 제주에 체류하며 연구· 교육 참여, 교류·협력 촉진을 위한 국제 포럼, 세미나, 워크숍 등 다양한 교류·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 교육부 – 제주도 공동 주최/주관 「RISE 글로벌 포럼」 개최 기획 추진
- (글로벌 공동연구) 다양한 학과·전공의 인력이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학과별·전공별 칸막이식이 아닌 ‘테마’ 중심으로 전략산업 연계 글로벌 산학협력 과제 발굴·추진
- (국내외 연구소·기관 등 유치) 정부 출연연, 국책 연구기관, 민간 연구소, 글로벌 연구기관, 국내·외 교육기관 등의 유치를 통한 교육·연구 프로그램 확대 및 공동 교육·연구과정 활성화
* 국책연구기관 RISE 참여의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기대효과
국내외 연계·협력 확대를 통한 제주지역(대학 포함)의 교육·연구 경쟁력 질적 향상 도모
국제적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연구·교육의 허브로 전환, 브랜드 이미지 구축
고급 연구인력 유입 등 교육·연구 관련 체류인구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
② 전략산업 생태계 육성 및 미래혁신역량 강화사업
추진방향
대학 중심의 지산학연 협력으로 전략산업 앵커기업 육성 및 자생적 지역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한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성장 기반 마련
주요추진내용
[협력체계] 산학협력 생태계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체계 및 인프라 구축
- 전략산업 육성 및 유치를 위한 지·산·학·연 공동 대응 협력 거버넌스 구축·운영
- 대학 보유 연구시설·장비 등 인프라 기업 공동 활용 및 대학(교수·학생)-산업체-연구기관이 같은 공간에서 연구할 수 있는 산학연공동연구실(Co-Lab) 등 공동연구 인프라 보강 등
* 전략산업 혁신을 위한 창업지원 및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병행
[전략산업 - 미래산업] 클러스터 기반 전략산업 혁신생태계 육성
- 대학과 혁신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클러스터 기반의 전략산업 혁신생태계 육성 및 확산, 기업과 함께 하는 연구개발, 기술실증, 제품·서비스 개발, 상용화
* 대학별 강점 및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분야별로 기구축된 인프라의 기능을 고도화, 공동연구·기술개발 등을 통한 대학별 산업 특화 브랜드화
- (대상산업) 에너지·디지털 대전환, 그린수소, 민간우주, UAM, 청정바이오 등
- (지식재산권 창출 및 기술 사업화)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지역 유망기술 탐색 및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우수기술 발굴, 산업(기업) 수요 기반의 연계협력 공동연구·기술개발, 기술이전 및 실증 등 지원
- 지역 대학과 앵커기업의 연계를 통한 중대형 공동연구 개발 지원(RAPID)
- 기타 지역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전략산업-근간산업] 관광·1차산업 등 Scale-Up & Value-Up 지원
- 기업-대학-기관 연계, 수요 기반의 협력형 R&BD 지원을 통한 Scale-Up & Value-Up 지원
- 관광·1차산업 등 지역기업의 경쟁력(기술·제품·가격) 제고에 활용할 수 있는 시장 중심의 공동연구 및 기술개발 등 R&D 혁신역량 강화 지원
- 대학별 기업협력센터(ICC) 프로그램 고도화 및 브랜드화 방안 마련
- 애로기술 컨설팅 등 수요 기반의 기업지원을 위한 워밍업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기타 해당 분야의 혁신을 위한 산학협력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략산업-고성장 산업] 화장품 등 고성장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개발 지원 【대학, 기관, 기업 등】
- 화장품 산업 인력양성·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제품개발 등) 지원
- 용암해수 부존 특성 연구·관리체계 고도화 및 산업화 연구
- 제주 농축산물의 가정간편식 제품(HMR)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제주형 펫 푸드/메디 관련 산업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기대효과
전략산업(기업) 수요 기반의 산학연계 공동연구를 통한 대학 및 지역 연구경쟁력 강화
* 교수·학생과의 공동연구로 산업(기업)의 기술개발 역량 및 경쟁력 강화
전략산업 육성, 혁신역량 강화, 협력생태계 구축, 기업유치 여건 확대 및 지역경제 성장동력 강화